반응형
흰머리는 대부분 '가족력' 멜라닌 세포의 기능 저하로 생기는 것
뽑는다고 더 많이 나지는 않는다... 하지만 반복적으로 시행 할 경우 견인성 탈모의 원인
목차 ▶ 흰머리, 새치 같은말인가? ▶ 흰머리는 유전인가? ▶ 흰머리를 뽑으면 더 많이날까? |
새치 = 흰머리
새치는 흰머리와 같은 말입니다.
가끔 새치는 어릴 때 나는 흰머리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, 사실 흰머리와 같은 말입니다.
흰 머리는
머리카락 - 코털 - 눈썹 - 속눈썹
순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,
머리카락이 다른 부위에 비해 더 빨리 나타나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생장기인 모발의 수가 많기 때문입니다.
모근에 있는 멜라닌을 만들어내는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면 머리카락이 하얘지는 것이 바로 새치(=흰머리)인 것입니다.
흰머리를 뽑으면 더 많이 난다는 등의 속설들이 있지만 전부 사실이 아닙니다.
다만, 흰머리를 억지로 뽑으면 그 주변으로 모낭염이 생긴다거나
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견인성 탈모가 생길 수 있으므로
되도록 뽑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업비트×VIVER 비트코인 반감기 퀴즈이벤트 정답공유 (1) | 2024.04.11 |
---|---|
2023년 국가건강검진 제때 안 받으면 불이익? (예약방법, 대상자) (2) | 2023.09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