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,
주가를 1주당 순이익(EPS: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)으로 나눈 것이다.
목 차 1. PER개념 2. 해석시 유의사항 |
PER 개념
Price → 주가
Earning → 수익
Ratio → 비율
PER = 현재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* EPS란? 한 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가
ex) 23.09.06 삼성전자 주가 70,000원, EPS 5,240원
PER = 13배
현재 삼성전자 주식가격은 삼성전자가 한 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에 비해서 13배의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다.
주식 1주가 순이익의 몇배를 나타내는가
= 얼마만큼의 기대감이 반영되어 있는지
PER
고평가
저평가
PER을 해석할 때 같이 생각해봐야 할 부분
1) 순이익 고려
기업의 성장성이 높으면 순이익이 증가해서 PER 숫자가 낮아집니다. (분모의 증가)
2) 상대평가
일반적으로 바이오산업은 고PER (예시 : 셀트리온의 PER 100)
음식료산업은 저PER (예시 : 롯데제과의 PER 12)
셀트리온이 롯데제과에 비해 고평가가 되었다라고 할 수 없음.
Why? 둘의 성장성에 대한 전망이 다르기 때문
따라서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PER에 속한 업종의 PER과 비교하는게 좋다.
저PER은 무조건 투자하기 좋은 기업일까?
→ 꼭 그렇지만은 않다. 실제로 성장성이 기대가 안되서 PER이 낮은 경우도 있기 때문.
728x90
반응형
'재테크│투자│부업 > 경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가에 호재일까? 악재일까? 무상증자, 유상증자 (0) | 2023.09.06 |
---|---|
미국 주식 서머타임 시행 (정규장 거래시간 변경과 일자) (0) | 2023.03.14 |
경제기사 읽기│명목GDP, 실질GDP, 1인당GDP (경제공부 / 경제뉴스 읽기) (0) | 2023.01.04 |
경제기사 읽기 │ 레버리지 효과 (경제공부 / 경제뉴스 읽기) (1) | 2022.12.31 |
경제기사 읽기 │ 자산 자본 부채 그리고 출자전환 (경제공부 / 경제뉴스 읽기) (1) | 2022.12.31 |